로컬 컴퓨터에 Bitnami WAMP Stack을 설치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1) 실제 웹서버(웹호스팅 서비스 또는 아마존 라이트세일 등)에 업로드하기 전에 로컬 컴퓨터에서 웹사이트를 개발 및 테스트하기 위해 또는 2) 로컬 컴퓨터를 웹서버로 구축하여 웹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함이며, 내 경우는 후자에 해당된다.
로컬 컴퓨터를 웹서버로 구축하여 웹사이트를 운영하기까지는 본 포스팅에서 설명하는 Bitnami WAMP Stack 설치 이외에도 추가로 워드프레스 설치, 고정 IP 환경에서 외부 접속 허용 (또는 공유기 사용 환경에서 유동 IP를 고정 IP 처럼 사용하기 위한 포트포워딩), 도메인 구입 및 DNS 설정 등이 필요하며, 열거한 순서대로 추후 포스팅할 예정이다.
1. Bitnami WAMP Stack 다운로드
구글에서 ‘Bitnami WAMP stack download’으로 검색하거나, 여기를 클릭하여 Bitnami 웹사이트에 접속한 다음, 가장 최신 버전 (2019년 8월 12일 현재, Version 7.3.8-0)의 Bitnami WAMP Stack을 클릭하자 (아래 Fig. 1 참조).

회원 가입을 유도하는 팝업 창이 뜨는데, 필수는 아니다. 아래쪽에 있는 ‘No thanks, just take me the download’ 부분을 클릭하면 다운로드가 시작된다 (아래 Fig. 2 참조).

2. Bitnami WAMP Stack 설치
다운로드 받은 설치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Bitnami WAMP Stack 설치를 시작한다. 아래 Fig. 3에서는 Next를 클릭.

Select Components 화면 (아래 Fig. 4 참조) 에서는 맨 아래에 있는 PhpMyAdmin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모두 체크 해제한 다음, Next 버튼을 클릭하자.

설치 경로를 물어보는 화면 (아래 Fig. 5 참조) 에서는 사용자 지정 경로를 선택하거나, 기본 설정 (C:\Bitnami\wampstack-7.3.8-0) 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Next 버튼을 클릭한다.

(중요) Create MySQL ‘root’ Account 단계에서는 MySQL 데이터베이스의 root 계정의 Password를 두번 입력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한다 (아래 Fig. 6 참조). 여기에서 입력한 Password는 나중에 phpMyAdmin에 로그인하는 단계 (Fig. 15 참조) 에서 사용되므로 잘 기억해두도록 하자.

Deploy wampstack to the Cloud in One Click 화면 (아래 Fig. 7 참조) 에서 Launch wampstack in the cloud with Bitnami 뒤에 있는 체크 표시를 해제한 다음, Next 버튼을 클릭.

Ready to Install 화면 (아래 Fig. 8 참조) 에서 Next 버튼을 클릭하면 Fig. 9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컬 컴퓨터에 설치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중요) 설치 작업이 끝나갈 때 쯤, Windows Defender 방화벽에서 mysqld와 Apache HTTP Server의 엑세스를 허용할 것인지를 각각 물어보는 창이 뜬다 (아래 Fig. 10과 Fig. 11 참조). 두 번 모두 ‘홈 네트워크, 회사 네트워크 등의 개인 네트워크(R)’에 체크한 다음, Next 버튼을 클릭하자.


이후에 아래 Fig. 12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면 정상적으로 설치 완료! Finish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된 Bitnami WAMP Stack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보자.

3. Bitnami phpMyAdmin 설정
어느 버전부터 바뀌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설치 종료 후 Bitnami WAMP Stack을 실행하게 되면 (이전의 Bitnami Manager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웹 브라우져 (예: 크롬) 에서 127.0.0.1 (localhost/) 에 접속하는 것 (아래 Fig. 13 참조) 으로 대체된 것 같다. 여기에서 Applications 탭을 클릭하면…

Bitnami phpMyAdmin Module 에 접속할 수 있는 화면 (아래 Fig. 14 참조) 이 나온다. 여기에서 Access 링크를 클릭하자.

새 탭에서 뜨는 phpMyAdmin 웹페이지에서는 Bitnami WAMP Stack 설치 과정 (Fig. 6 참조) 에서 입력했던 root 계정의 password를 입력한 다음, 그 아래에 있는 실행 버튼을 클릭한다 (아래 Fig. 15 참조).

이후 갱신된 화면에서 ‘사용자 계정’ 탭을 클릭하여 (아래 Fig. 16 참조),

워드프레스 설치 이후에 해당 웹사이트를 관리할 사용자를 추가해야 한다 (root 계정으로 관리하지 않고, 굳이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하는 이유는 잘 모르겠다). 아래 Fig.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계정 탭에서 중간에 있는 ‘사용자 추가’를 클릭하면…

아래 Fig. 18과 같이 사용자명 (예: plave) 을 입력하고, (여기에서 보통은 호스트명을 localhost로 바꾸라는 분들이 많은데, 내 경우에는 바꾸지 않고 그대로 두어도 잘 동작하고 있다) 암호를 두 번 입력한 다음, 전체적 권한 모두 체크를 클릭하고, 실행 버튼을 클릭하여 사용자를 추가한다.

사용자 추가 이후에는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탭을 클릭하여 이동한다 (아래 Fig. 19 참조).

데이터베이스 탭에서 새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아래에 DB 이름 (예: plavedb) 을 입력하고, 만들기 버튼을 클릭한다 (아래 Fig. 20 참조).

다음 화면 (아래 Fig. 21 참조) 에서 데이터베이스 생성되면, Bitnami phpMyAdmin 설정 작업이 완료되었다.

(중요) 이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 이름 (예: plavedb), 사용자명 (예: plave) 및 암호 (예: ****) 는 추후,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정보이니, 잘 기억해두도록 하자.
번외. Bitnami Manager 프로그램 실행하기
과거 버전에서는 Bitnami WAMP Stack 설치를 완료하고 Finish 버튼을 클릭했을 때, 자동으로 Bitnami Manager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던 것 같다 (언제부터인지는 모르겠지만) 현재의 7.3.8-0 버전에서는 Bitnami Manager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는다.

Apache 웹서버와 MySQL 데이터베이스가 실행 중(Running)이라는 것을 보고 싶다면, Bitnami WAMP Stack 설치 경로 (내 경우, C:\Bitnami\wampstack-7.3.8-0)에 가서 manager-windows 응용프로그램 (위 Fig. 22 참조) 을 더블클릭하면, Bitnami Manager 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아래 Fig. 23 참조).

그리고 Manage Servers 탭을 클릭하면 아래 Fig.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Apache 웹서버와 MySQL 데이터베이스가 실행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cent Comments